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96

250205 매경 주요 뉴스 정리 https://www.mk.co.kr/news/world/11232528 중국도 관세 즉각 맞불 … 광물수출 막고 美원유 10%P 추가관세 - 매일경제中, 텅스텐 등 미국 수출통제타미힐피거 등 美기업 2곳은신뢰할 수 없는 기업 명단에미국은 즉각 관세 발효했지만中은 관세부과 10일로 기한둬강대강 대치 속 협상여지 남겨www.mk.co.kr * 트럼프 1기와 유사한 상황이 벌어지고 있음. 트럼프틑 중국의 불공정 무역 비판했음. 특정 품목  관세 부과했음. 중국을 환율 조작국으로 지정했음. 이런 상황에서도 베이징과 워싱턴을 오가며  협상이 이루어졌었음.  * 그동안 미국에 수출하는 중국산 제품에 20% 관세 부과되었음. 1일 행정명령 이후 추가 관세  평균 30%가 될 듯. * 전기차 100%에서 110%. .. 2025. 2. 5.
4Q24 어닝서프 발표 기업_250204 4분기 실적은 분기보고서가 아닌 사업보고서로 발표됩니다.사업보고서는 전년도 마감일 후 +90일 이내 마감합니다. 3월 31일까지 매일 업데이트해 볼까 합니다.  매출액 혹은 영업이익이 컨센 상회하는 기업을 기록하겠습니다. 관심 있는 산업군에 속한 기업을 중점으로 시총이 작거나 일회성 이익 증가는 제외했습니다.                   구글 시트에 컨센 상회 기업들을 리스트 업했습니다.향후 컨센 상회한 기업들의 주가가 어떻게 움직이는지 알아보고자 합니다 https://docs.google.com/spreadsheets/d/1t7vOoY4O8f1EMK09jKrZGZA09jCTVWUbZ3HHFpxYTRw/edit?usp=sharing 2025. 2. 4.
250204 매경 주요 뉴스 정리 https://www.mk.co.kr/news/economy/11231467 작년 소비 -2.2% … 21년만에 최악 - 매일경제정국 혼란 겹쳐 내수 고사직전www.mk.co.kr * 카드 대란이 벌어졌던 2003년 이후 21년만에 소매판매는 가장 큰 폭으로 하락. * 2024년 소매판매액지수는 -2.2%. 소매판매는 서비스업 생산과 함께 내수 소비를 나타내는 대표적 지수. * 승용차 등 내구재(-3.1%), 음식료 (-1.4%), 의복 등 준내구재(-3.7%) * 소매판매액은 22년 이후 3년째 하락 중 22년 (-0.3%), 23년 (-1.4%), 24년 (-2.2%)   https://www.mk.co.kr/news/it/11231391 올트먼·손정의 '브로맨스' 과시 … 中딥시크 맞서 美日 'AI.. 2025. 2. 4.
250203 연금 계좌 배우자님의 개인연금을 관리합니다. 1주일에 한 번씩 투자수익을 살펴봅니다. 필요시 포트폴리오를 변경합니다.   1주일 전 수익률은 18.68%. 오늘 자 17.56%입니다. -1.12%입니다. 엔비디아의 폭락과 AI전력 인프라 ETF에 속한 종목들의 하락으로 걱정을 했습니다. 걱정 대비 손실이 작아서 안심했습니다.   개인연금 * 1주일 전과 비교하여 S&P500은 41.37% → 42.42%로 미세하게 상승했습니다.  * 미국배당귀족 역시 23.39% → 26.99%로 상승했습니다. 1월 31일 매도했습니다. 매도 기준일은   2월 4일입니다. 매도지급일은 6일입니다.      * 엔비디아 폭락으로 걱정했던 미국빅테크 7 커버드콜은 다른 빅테크의 선방으로 3.62% → 1.96%로  플러스 수익률을 지.. 2025. 2. 3.
250203 매경 주요 뉴스 정리 https://www.mk.co.kr/news/it/11230504 오픈AI도 소스코드 오픈할듯 - 매일경제폐쇄형 모델 썼던 올트먼"역사의 잘못된 편에 섰다"www.mk.co.kr * 딥시크를 비롯한 오픈 소스를 앞세운 중국 기업의 공세에 AI 시장 주도권을 빼앗길수 있다는  위기감에 오픈소스 방식으로 전환할 가능성 시사.  https://www.mk.co.kr/news/it/11230498 AI 독식하려던 오픈AI, 딥시크 등장에 폐쇄형 모델 '잠금 해제' - 매일경제오픈AI, 오픈소스 전환 시사MS·아마존 등 딥시크 도입개발자 썰물 위기감 커지자폐쇄형고집 버리고 태세바꿔4일 訪韓 올트먼 '입'에 주목오픈소스 입지 흔들린 메타"전시상황" 워룸 만들어 대응www.mk.co.kr * 오픈AI는 그동안 개발.. 2025. 2. 3.
엔터 4분기 실적 컨콜 정리 2025년 1월 13일에 진행했던 엔터 4분기 실적 컨퍼런스 콜입니다. 들리는 대로 작성하였기에 글이 거칩니다. 양해 부탁드립니다.    * 최근 팬덤 경쟁이 음반에서 음원으로 옮겨가고 있음. * 콘서트 규모 결정에서 엔터사의 의지도 중요하지만 현지 공연 기획사의 의견도 중요함. * 그들은 음반 판매량보다는 음원 지표를 중요시 함.* 음원은 지역별 수요를 증명하는 지표. * 2024년 해외 음원 스트리밍을 보면 컨센 상회 가능성 높음.   >>> 엔터 산업은 2023년까지 음반 중심. 앞으로는 공연 + MD 매출.  * MD는 공연 모객수에 비례하는 경향 있음. 올해 온라인 MD 품목 확대 계획. * 하이브가 MD 매출 성장률 및 공연 매출이 가장 클 것으로 예상. * 하이브의 25년 공연 매출 성장률은.. 2025. 2.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