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엔터2 엔터 4분기 실적 컨콜 정리 2025년 1월 13일에 진행했던 엔터 4분기 실적 컨퍼런스 콜입니다. 들리는 대로 작성하였기에 글이 거칩니다. 양해 부탁드립니다. * 최근 팬덤 경쟁이 음반에서 음원으로 옮겨가고 있음. * 콘서트 규모 결정에서 엔터사의 의지도 중요하지만 현지 공연 기획사의 의견도 중요함. * 그들은 음반 판매량보다는 음원 지표를 중요시 함.* 음원은 지역별 수요를 증명하는 지표. * 2024년 해외 음원 스트리밍을 보면 컨센 상회 가능성 높음. >>> 엔터 산업은 2023년까지 음반 중심. 앞으로는 공연 + MD 매출. * MD는 공연 모객수에 비례하는 경향 있음. 올해 온라인 MD 품목 확대 계획. * 하이브가 MD 매출 성장률 및 공연 매출이 가장 클 것으로 예상. * 하이브의 25년 공연 매출 성장률은.. 2025. 2. 2. 디어유 컨콜 정리 2024년 12월 초에 진행했던 디어유 컨퍼런스 콜을 정리했습니다. 아래 글은 오늘 기준으로 썼기 때문에 글에서의 올해는 2025년을 말합니다. 들리는 대로 작성하였기에 글이 거칩니다. 양해 부탁드립니다. * 주주구성은 SM 스튜디오가 31%, JYP가 18%. 캡티브가 총 50%.* Customer는 버블 런칭 이후 SM의 의존도는 낮아지고 있지만 아직까지 JYP까지 합치면 77% 차지. * 작년 3분기 기준으로 인력은 90명. 이중 개발 인력이 50%. 23년 대비 매출액 성장이 50% 임에도 YoY 기준으로 10명밖에 충원이 되지 않았음. 영업레버리지가 발생할 수 있는 구조. * 해외 이용자 비중은 24년 3분기 기준으로 73%. 구독자 수가 2만명이 넘어가는 아티스트는 54%. * 버블 .. 2025. 1. 26.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