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조선7

250220 매경 주요 뉴스 정리 https://www.mk.co.kr/news/world/11245173 트럼프 "車관세 최소 25%" - 매일경제"반도체·의약품은 25% 이상"1년 걸쳐 인상폭 확대 시사www.mk.co.kr * 수입 자동차에 대해 최소 25%, 반도체와 의약품에 대해서는 그 이상의 관세를 1년에 걸쳐 인상  부과 예고.    https://www.mk.co.kr/news/economy/11245155 한은 "韓주력산업 빨간불"… 美관세폭탄 터지면 車수출 9兆 타격 - 매일경제8대 산업 모니터링 보고서반도체, 中 저가공세에 시달려낸드 가격은 고점 대비 반토막자동차산업 美보호주의 직격탄25% 관세땐 수출 -18%분석도석화·철강도 업황 악화 불보듯슈퍼사이클 조선업www.mk.co.kr * 슈퍼 사이클에 진입한 조선과 신제.. 2025. 2. 20.
250213 매경 주요 뉴스 정리 https://www.mk.co.kr/news/world/11239547 美군함 동맹국서 건조 허용 … 의회, 법안 발의 - 매일경제"美보다 저렴해야" 단서한국 조선업계에 '호재'www.mk.co.kr * '해군준비태세보장법'은 외국 조선소에서 해군 함정 건조 금지하는 법에 예외 두도록 함. * NATO나 미국과 상호방위조약 맺은 인도, 태평양 지역 국가의 조선소에서 해군 함정 건조 가능. * 일본과 한국이 해당. * '해안경비대준비태세보장법' 해안경비대에서 사용하는 선박에도 같은 내용 적용.  https://www.mk.co.kr/news/world/11239533 '조선업 협력' 손내민 美 … 최대 수혜국은 韓·日 - 매일경제해군력, 中에 밀린다 위기감동맹국에 美군함 건조 허용의회도 법안 발의해 힘 .. 2025. 2. 13.
250211 매경 주요 뉴스 정리 https://www.mk.co.kr/news/world/11237556 트럼프 "모든 철강에 25%P 추가 관세" - 매일경제"알루미늄도 마찬가지" 선언韓철강 현재 쿼터제로 무관세상호관세 계획도 금명 발표www.mk.co.kr * 10일부터 미국으로 수입되는 모든 철강, 알루미늄에 관세 10% 추가 부과. * 이전 트럼프 1기 때 철강에 +25%, 알루미늄에 +10% 관세 부과된 이력 있음.  * 현재 호주는 관세 면제, EU, 영국, 일본은 일정량까지 관세 면제, 이후 저율할당관세 적용. * 한국은 철강 관세 면제 대신 수출 물량 제한하는 수출쿼터제 실시 중. 알루미늄은 +10% 부과 중.    https://www.mk.co.kr/news/business/11237496 '트럼프 관세' K철강 정조.. 2025. 2. 11.
250208 매경 주요 뉴스 정리 https://www.mk.co.kr/news/world/11235908 美 1월 고용지표 부진 14만3천명 증가 그쳐 - 매일경제시장 전망치 크게 하회실업률은 4%로 낮아져연준 금리동결 지속할듯www.mk.co.kr * 미국 1월 비농업고용은 컨센인 17.5만 명을 하회한 14.3만 명. 1월 고용 증가는 25.6만 명에서  30.7만 명으로 상향 조정. * 실업율은 컨센인 4.1%보다 낮은 4%. 전반적인 고용시장은 여전히 견고. 기준금리 동결 분위기. * 올해 첫 금리인하는 6월 가능성 높아짐.  * 트럼프의 관세 전쟁으로 인하여 각국의 중앙은행은 금리 인하 중.  * 인도는 2020년 5월 이후 처음으로  0.25% 낮춤. 현재 기준금리 6.25%.  * 작년 9월 말 인도 GDP는 2년만에 가장.. 2025. 2. 8.
250207 매경 주요 뉴스 정리 https://www.mk.co.kr/news/business/11234803 HD현대·한화, K해양방산 '원팀' 합의 - 매일경제수상함·잠수함 나눠서 맡기로집안싸움 정리로 수출 청신호5년간 300억달러 수주전 예고www.mk.co.kr * 앞으로 방위 산업에서 HD현대중공업은 수상함, 한화오션은 잠수함으로 분야 나누기로 합의함. * 양사는 큰틀에서 합의 중. 한 업체가 수주를 해 오면 국내에서 배를 만들 때 부분으로 나누거나  선체와 전투 체계를 분리하는 방안 등이 거론.  * 글로벌 해군함정증강사업 시장은 향후 5년간 글로벌 300억 달러 규모 예상. * 수상함은 향후 3년간 예상 발주 물량 20여척. 잠수함은 5년간 18척.   https://www.mk.co.kr/news/business/1123.. 2025. 2. 7.
250201 매경 주요 뉴스 정리 https://www.mk.co.kr/news/it/11229702 급소 찔리고도 … 딥시크 등장에 웃는 젠슨 황 - 매일경제엔비디아 "딥시크 성과 탁월" 칭찬한 이유글로벌 AI생태계 확 커지면결국 엔비디아 칩 수요 늘어오픈AI가 숨겨온 추론능력딥시크가 오픈소스로 공개전세계 개발자에겐 희소식적은 비용으로도 AIwww.mk.co.kr * 젠슨 황은 올해 1월 초 CES2025에서 " TEST 시간의 스케일링 법칙" 소개했음.* 스케일링의 법칙이란 더 많은 매개변수나 데이터를 투입하면 더 좋은 결과물을 창출할 수 있다는 것.  * 작년 9월 오픈 AI는 추론 모델인 o1을 공개하면서 테스트 시간의 스케일링 법칙을 언급.* AI에게 생각할 시간을 주면 AI의 성능이 좋아진다는 뜻.     >> AI 추론에 대.. 2025. 2. 1.